티스토리 뷰

목차

     

    빠르게 다가오는 에어컨의 계절, 여름을 맞이하기 위해 에어컨 냄새 없애는 방법을 다양하게 소개해드리겠습니다.
    1년동안 잠자고 있던 에어컨을 틀기 전에 에어컨 냄새 없애는 방법을 알아가셔서 쾌적하게 시원한 날들을 즐겨보세요.

    에어컨 냄새 원인

    에어컨에서 퀴퀴한 냄새나 시큼한 냄새가 나는 걸 경험해본 적 있으실텐데요. 이 악취는 세균과 곰팡이로 인해 발생하는 냄새입니다. 에어컨 부품 중에는 필터와 열교환기 등 열과 습기와 먼지에 영향을 받는 중요 부품들이 있습니다.
    이 3요소가 반복되면 부품에는 곰팡이와 세균이 생겨 에어컨에서 냄새가 발생합니다.
    더군다나 곰팡이는 선선한 온도와 습한 환경에서 번식이 아주 빠르니 에어컨 안은 곰팡이에게 최적의 장소입니다.


    에어컨의 특성상 작동시키면 열교환기에 공기 중의 수분이 응축되어 응축수로 배출되다가 에어컨을 끄면 고여있는 응축수의 곰팡이가 번성하게 됩니다.
    그래서 에어컨을 처음에 길게 사용할 때는 냄새가 나지 않다가 끄고 재사용할때는 끈 동안에 생긴 곰팡이로 인해 냄새가 나게 됩니다.
    에어컨을 사용한다면 이런 동작에 의한 곰팡이 생성 자체를 막긴 어려우니 평소 관리와 주기적인 청소가 중요합니다.

    에어컨 냄새 없애는 방법

    시중에 에어컨 냄새를 없애는 다양한 제품이 출시되어 있습니다. 가장 간단한 방법부터 차례로 살펴볼까요?

    (1) 곰팡이 제거제
    에어컨에 곰팡이 제거제를 뿌리면 냄새를 잡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눈에 보이는 부분 위주로만 도포가 가능하기 때문에 효과는 오래 지속되지 않고, 미처 마르지 않은 성분이 공기를 통해 인체에 흡입될까봐 우려되기도 합니다.
    가끔 관리 차원에서 뿌리는 건 효과가 있겠으나 근복적인 원은을 잡는 방법으로는 추천드리지 않습니다.



    (2) 에어컨 송풍 기능
    에어컨을 작동시키다가 바로 끄지 않고, 냉방이 아닌 송풍모드로만 돌립니다. 열교환기에 고여있는 수분을 말리기 위한 작업이므로 30분 정도 돌리시는 것을 추천 드립니다. 전기용품이라 전기세가 걱정되실 수 있는데 송풍기는 단순히 팬만 돌아가는 기능이므로 전기세가 크게 오르지 않으니 걱정마시고 확실하게 말려주셔도 됩니다. 최근에 나온 에어컨 제품들은 에어컨 작동 중지 시 전원이 바로 꺼지지 않고 자동으로 송풍 기능을 시작하는 자동건조기능이 탑재되어 있기도 합니다. 평소 관리 차원에서 송풍을 잊지 않고 해주시는 게 에어컨 냄새 없애는 방법 중 예방 차원에서는 가장 효과적은 방법입니다.



    (3) 응축수 이용
    송풍 기능으로 에어컨 냄새를 없앤 건 물을 날리는 방법이었다면, 반대로 물을 더 많이 생기게 해서 열교환기를 씻어내는 방법도 있습니다.
    오히려 수분이 많이 생길 수 있게 창문을 열고 에어컨을 가장 최저 온도인 18도로 설정해서 가동시킵니다.
    그러면 열교환기에 응축수가 많이 생겨서 열교환기를 씻어내는 효과가 생깁니다.
    물이 더 많이 빨리 생기도록 창문을 모두 열고 1시간 정도 가동하시고 이로 인한 세척 과정이 끝나면 송풍으로 30분간 말려주시면 됩니다.
    단순 송풍 기능을 이용한 관리만으로  냄새가 없어지지 않을 때 조금 더 확실한 방법입니다.
    송풍 기능보다는 전기세가 더 나오니 개인적으로 평소 송풍 기능을 잘 활용하시고 그래도 냄새가 날 때는 확실하게 필터 청소나 필터 교체하는 것을 추천 드립니다.



    (4) 필터와 핀 청소
    위에 소개드린 방법을 적용하셔도 에어컨 냄새가 사라지지 않는다면 번거로우시겠지만 필터와 냉각핀 청소가 필요한 상황입니다.
    어렵게 느껴지실 수 있는데 한번 따라해보시면 은근 금방 끝나서 천천히 읽어보시고 따라해보시면 좋겠어요.


    필터 청소 방법
    - 에어컨 코드 빼기
    - 에어컨 겉면 청소 (먼지털이, 물티슈)
    - 에어컨 본체를 열어서 필터 먼지 청소 (진공청소기, 칫솔로 먼지 제거)
    - 필터 분리 가능하면 흐르는 물에 세척
    - 햇빛에 완전히 건조

    냉각 핀 청소 방법
    - 분무기에 물을 담고 과탄산소다 희석시키기
    - 냉각핀에 뿌려주고 칫솔과 마른천으로 닦기

    필터와 냉각 핀 청소를 마치고 나면, 청소하면서 생긴 습기 제거를 위해 30분 정도 송풍을 작동시켜서 내부 습기를 말려줍니다.
    혹시 셀프 필터 청소로도 개선이 안된다면 과감하게 필터 교체를 하시길 바랍니다.



    (5) 전문업체 이용
    아무래도 확실한 방법은 에어컨 청소 전문업체를 쓰는 것인데요. 적지 않은 비용이 나가니 가능하시다면 위 방법으로 관리와 청소를 진행해보시고 결정하시길 바랍니다.

    에어컨 청소 주기

    에어컨 냄새 없애는 방법을 읽어보시면 평소 관리와(송풍 30분) 셀프 필터 청소의 중요성을 느끼셨을텐데요.
    필터 청소의 적당한 주기는 2주~3주 정도입니다.
    저는 보통 화장실 청소를 할 때 필터 물청소를 하고, 에어컨 냄새가 많이 나지 않으면 진공청소기로 간편하게 먼지를 빨아들이면서 관리하고 있습니다.
    열심히 관리하고 청소하시는데도 냄새가 나시면 한번은 전문 업체를 통해 진단을 받아보시고 그 이후 관리에 신경 쓰시는 게 정신 건강에 좋습니다.

    이렇게 에어컨 냄새 없애는 방법과 에어컨 청소 주기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았는데요.
    벌써 낮에는 해가 쨍쨍 무더워지는 날씨라서 에어컨을 틀까 말까 고민하는 요즘, 날이 더 더워지기 전에 에어컨 청소를 해두시면 어떨까요?
    갑자기 더워진 어느 날 에어컨을 걱정 없이 켜실 수 있게 미리 에어컨 냄새를 없애보아요
    돌아오는 여름에 쾌적하고 시원한 날들 보내시길 바랍니다.